본문 바로가기
의료

성인 소아 탈장의 증상 진단 치료

by sshinshin 2023. 11. 20.

탈장은 원래 뱃속(복강 내)에 있어야 하는 장이 복강밖으로 탈출한 상태를 말합니다. 탈장은 주로 배앞쪽이나 아래쪽에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탈장은 총인구의 10%에서 발견될 만큼 흔한 질환입니다. 탈장의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자주 나올 용어부터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탈장사진

  • 정복술 : 탈장된 장을 외부에서 손으로 다시 집어넣는 것
  • 감돈탈장 : 외부에서 밀어 넣을 수 없는 경우 감돈탈장
  • 교액탈장  : 감돈탈장이 진행되어 발생하는 것. 장은 동맥혈류를 통하여 영양공급을 받는데 탈장이 생겨 동맥혈류에 장애가 생기면 장이 붓고 부으면 혈류에 더 문제가 생기는 악순환을 반복하여 결과적으로는 장을 썩을 수 있음. 이런 경우 아주 심각한 통증을 동반함.
  • 장폐색 : 장에 혈류장애가 생겨 장이 썩는 것

 

성인탈장의 종류

1) 서혜부 탈장- 서혜부 탈장은 전체 탈장의 약 75%를 차지합니다. 남성에서 여성보다 25배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사타구니 부위의 종괴를 발견하거나 그 종괴가 커지거나 통증이 동반되어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은 초음파로 하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서혜부 탈장은 근육층을 뚫었는지 여부로 간접과 직접으로 나눕니다.

  1. 간접 서혜부 탈장 : 서혜부 탈장의 70% 정도로 근육을 직접 찢고 나오지는 않고 원래 복벽에 있던 작은 틈새로 나오는 탈장을 뜻합니다.
  2. 직접 서혜부 탈장 :  근육층을 직접 뚫고 나오는 탈장으로 근육이 약해질수록 잘 생깁니다. 따라서 고령일수록 잘생기는 탈장입니다. 

2) 절개부탈장

- 절개부탈장은 전체 탈장의 20% 정도를 차지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수술 후 절개했던 곳으로 탈장이 생기는 것입니다. 수술 때 절개했던 곳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붙지만 예전보다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개복수술 시(배는 여는 수술) 10% 정도에서 생깁니다. 절개부탈장은 다른 탈장들에 비해서 크기가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 증상은 단순불편감에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것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또한, 절개부탈장은 재발률이 높습니다. 1차 치료 후 50%에서 재발한다고 합니다. 

 

3) 대퇴탈장 

- 넙다리관 구멍(femoral ring)을 통해 종괴가 튀어나오기 때문에 발견당시 탈장의 크기는 작습니다. 하지만 주변조직이 뼈 등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쉽게 부종이 생겨 감동이나 교액탈장으로 진행되는 시간이 빠릅니다. 감돈이나 교액탈장으로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40%에 달합니다. 대퇴탈장은 여성에서 남성보다 10배 정도 빈발합니다. 

 

 

성인 탈장의 진단

성인 탈장은 대부분 초음파로 진단합니다. 초음파가 비용도 적고 간편하며 조영제 사용의 위험성도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사선 피복이 없기 때문에 소아나 임산부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서는 응급실 전문의의 숙련도에 따라 진단율의 차이가 있지만 외래를 방문하여 숙련된 외과의사에게 진료는 받는다면 초음파로 대부분 다 진단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초음파로 감돈이나 교액탈장을 100% 정확히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성인탈장의 치료

성인탈장의 치료는 응급실이나 외래에서 정복술로 정복되었다면 경과관찰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교액이나 감돈탈장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탈장의 임상양상과 치료

소아탈장은 꽤 흔한 질환입니다. 조산아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소아탈장의 특징은 65%에서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는 것입니다. 단순 서혜부 탈장은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대부분 고환이나 사타구니 부위의 종괴가 있어 내원합니다. 

 

소아탈장사진

 

소아탈장의 치료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입니다. 왜냐하면 소아에서는 감돈탈장이 교액탈장으로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외과적으로 응급상황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수술적 치료 전에 최대한 빨리 정복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정복술이 성공하더라도 1/3에서 감돈탈장으로 재발하기 때문에 입원하거나 24시간 내에 외래진료를 꼭 보실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정복술이 실패한다면 수술적 처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댓글